티스토리 뷰

목차



    반응형

    연말정산 시즌이 다가오면서 많은 이들이 부양가족 공제를 통해 세금을 절약하려 합니다. 특히, 인적공제는 공제 금액이 큰 항목 중 하나로, 조건을 잘 확인해 놓치지 않고 챙기는 것이 중요합니다.

     

    1인당 150만원 공제를 받을수 있으면 연말정산에 큰혜택을 받을수 있습니다. 아래에서 부양가족 공제 항목과 절세 팁을 내용을 보시고 13월에 월급 제대로 챙겨보시길 바랍니다.

    연말정산 인적공제
    연말정산 인적공제

    1. 부양가족 인적공제란?

    부양가족 인적공제는 근로자가 본인과 부양가족을 대상으로 요건을 충족하면 소득에서 일정 금액을 공제받을 수 있는 제도입니다. 이는 기본공제와 추가공제로 나뉩니다.

    • 기본공제: 본인, 배우자, 자녀, 부모님 등 1인당 연 150만 원 공제.
    • 추가공제: 장애인, 경로우대(70세 이상), 부녀자, 한부모 등을 대상으로 추가 공제 제공.

    2. 기본공제의 세부 요건

    • 본인: 조건 없이 공제 가능.
    • 배우자: 소득금액 100만 원 이하(근로소득만 있는 경우 총급여 500만 원 이하).
    • 부양가족: 생계를 함께하며, 소득금액 100만 원 이하.
      • 부모님: 만 60세 이상.
      • 자녀: 만 20세 이하.
      • 형제자매: 만 20세 이하 또는 만 60세 이상.

    소득금액 기준은 세전 소득에서 공제 항목을 제외한 금액으로, 근로소득만 있다면 총급여 500만 원 이하가 기준입니다.

    연말정산 인적공제
    연말정산 인적공제

    3. 추가공제의 조건

    • 경로우대 공제
      • 대상: 만 70세 이상 대상자.
      • 공제 금액: 1인당 연 100만 원.
    • 장애인 공제
      • 대상: 등록 장애인, 상이자, 항시 치료가 필요한 중증환자.
      • 공제 금액: 1인당 연 200만 원.
    • 부녀자 공제
      • 대상: 배우자가 있거나 없는 여성 근로자 중 기본공제 대상 부양가족이 있는 세대주.
      • 공제 금액: 연 50만 원.
      • 소득 요건: 종합소득금액 3천만 원 이하.
    • 한부모 공제
      • 대상: 배우자가 없고 직계비속 또는 입양자가 있는 근로자.
      • 공제 금액: 연 100만 원.
      • 주의사항: 부녀자 공제와 중복 적용 불가, 한부모 공제가 우선 적용.

    연말정산 인적공제
    연말정산인적공제

    4. 부양가족 공제 요건 확인 팁

    • 주민등록상 동거 여부와 상관없이 생계를 함께하는지가 핵심 기준.
    • 주소가 달라도 송금 내역, 생활비 지원 등 생계를 입증할 자료 필요.
    • 형제자매, 수급자는 주민등록상 동일 주소 필수.
    • 공제 가능 항목별 조건을 꼼꼼히 확인해 최대한 공제를 활용해야 합니다.

    5. 절세를 위한 팁

    • 부부가 함께 연말정산 시, 부양가족과 소득을 어떻게 분배할지 검토.
    • 아이를 한쪽에 집중시키기보다, 부녀자공제를 고려해 분산 적용.
    • 공제 요건 충족 여부를 연말정산 전에 미리 점검.

    위 내용을 참고해 올해 연말정산에서 최대한의 공제를 적용받아  절세 혜택을 누리시기 바랍니다.

     

    연말정산 인적공제
    연말정산 인적공제

     

    반응형